북카페/그림책과 책놀이 썸네일형 리스트형 [그림책함께읽기] 아무도 지지 않았어 아무도 지지 않았어 황선미 글 / 백두리 그림 | 주니어김영사 2020년 02월 20일 의 저자 황선미 작가의 책이다. 그림책인데 대놓고 초2가 주인공이라니 너무 좋다. 아무리 80세까지 그림책을 보는 문화가 만들어지고 있다지만 대부분이 유아독자나 성인독자를 타겟으로 하다보니 초등에게 그림책을 접하게 하는 일이 쉽지 않다. 비니는 어려서부터 그림책을 늘 곁에 두고 살았지만, '초등인데 그림책을?' 이라는 시선이 생기더라. 아무래도 학교독서 시간에 그림책 들고가면 꾸중듣는 문화도 있다보니 그림책=유치해 라는 공식이 슬몃 자리잡는 모양이다. 는 진지하게 읽을 그림책이다. 작가가 혹시 2학년은 아닌지 의심스러울만큼 아이들 심리도, 상황도 잘 우러났다. 비니는 첫 페이지부터 감동했다. 초등때 이사와서 옛 친구가.. 더보기 13월의 토끼(feat. 글 밥 늘리기) 13월의 토끼 생각톡(think&talk) 무지개 시리즈 함윤미 글 / 권지은 그림 | 알라딘북스 그림책을 좋아하는 엄마라서 비니는 학년이 올라가도 그림책을 많이 접했다. 자발적으로 읽는 글밥 많은 동화책은 , 정도이다. 글밥이 많은 책으로 넘어가는게 책을 넓고 깊게 소화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이 책 저 책 끌어오지만 넘을 수 없는 장애물이 있다. 바로, 만화책! 특히나 쿠키런 시리즈, gogo 카카오프렌즈 시리즈는 질리지도 않는지 몇번이고 읽는다. 그래서 방법을 바꾸어 보았다. 그림책 시작할 때 했던 것처럼 읽어주기. 책먹는 여우, 엄마 사용법처럼 흥미가 있을 만한 책을 골라 뒹굴거리고 있을 때 읽기 시작한다. 마치 내가 읽고 있는건데 다만 소리가 새어나올 뿐이라는 듯. 그러고는 드라마 예고편 볼 때 .. 더보기 [감정그림책] 감정은 무얼할까 티나 오지에비츠 글 알렉산드라 자욘츠 그림 이지원 역 | 비룡소 | 2021년 08월 12일 비룡소에서 나온 신간이에요. 도서관에서 소개해주길래 읽었는데 맘에 들어 추천해봅니다. 요즘 아이들에게 정말 부족한게 공감, 표현, 공유, 감정이잖아요. 해야할 일도 많고, 코로나때문에 상호작용 할 기회가 없다보니 더더욱 도드라지는 것 같아요. 학습격차도 학습격차지만 몇년 전 한 참 다루었던 EQ격차도 커지는게 아닐까 우려스럽습니다. 비니는 외동에다가 동네를 떠나 이사하자마자 코로나가 터지기 시작해 동네 친구가 전무해요. 그렇다보니 경험해보지 못한 갈등, 감정을 글로 가르쳐야만 하는데 아홉살 마음사전도 큰 도움이 되긴했지만, 너무 사전적이랄까... 딱딱한 부분이 없잖아 있었어요. 감정은 무얼할까?는 일상에서 겪을 .. 더보기 [동화책]아드님, 진지드세요. 작년, 서점을 운영하면서 주문을 받아 1학년 수록도서, 권장도서를 구입하게 되었다. 주문을 한 손님이 책을 구매해 가지 않았고, 출간년도가 오래된 책도 있어 반품이 어려워 집에 두었다. 덕분에 국어책에 짤막하게 수록된 이야기의 뒤가 궁금했던 비니가 꺼내어 읽으며 꽤 많은 독서를 하게 되었다. 그래서 올해 겨울방학엔 2-1학기 수록도서를 읽혀야겠다 생각해 책을 구비했다. 책 중에는 아직도 이런 책을...싶은 것도 있고, 이 책 괜찮네 싶은 책도 있었는데 '아드님, 진지드세요.'는 찰떡이다. 미디어 노출도 빠르고, 언어도 빠른 요즘 아이들의 공통적인 문제점 중 하나가 쓰임을 모르고 쓰는 말이다. 비속어는 물론이고, 미디어 특히 유튜브는 권장연령이 정해져 있는 게 아닌지라 어른에게 사용하면 안되는 언어들도 쉽.. 더보기 [성교육그림책] 곧 수영대회가 열릴거야 오히려 유아때는 음경, 음순이 그려진 그림책도 쉽게 건낼 수 있었다. 그래서 성교육이 어렵지 않았다. 구성애 선생님이 감수하신 뽀로로 성교육 그림책도 그렇고, 외국에서 출간된 성교육 그림책은 더 적나라하지만 사전 보듯 봤던 것 같다. 하지만, 초2가 된 지금은 호기심이 어디로 튈 지 몰라 성교육이 더 조심스러워졌다. 아홉살성교육사전 같은 좋은 책도 있지만, 아직 자위가 뭔지 모르는 아이에게 새로운 단어를 줘봐야 호기심만 부풀릴게 뻔했다. 자살, 왕따, 학폭, 학대라는 단어와 의미를 몰랐지만, 학교 교육을 통해 알게 된 아이들이 이걸 협박용으로 부모나 교사에게 사용하는 일이 생기는 것 처럼 말이다. 내 아이라고 바르게만 크겠는가. 그래서 더욱 신중했다. 아기를 어디로 낳아? 아기씨앗을 어떻게 전달해?.. .. 더보기 이전 1 2 3 4 ··· 7 다음